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직장생활 스트레스 극복 5가지 방법

by 작도쓰 2023. 6. 26.
반응형

직장생활에서 우리는 과중한 업무 및 인간관계로 인해 스트레스를 자주 받는다. 스트레스는 업무의 효율성을 저하하기 때문에 업무에 부정적 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관리가 필요하다. 그렇다면 우리는 직장생활 스트레스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직장생활 스트레스 극복

 

직장생활 스트레스 극복 5가지 방법

첫째, 스트레스의 속성을 구분하라. 

스트레스는 긍정적은 '유스트레스(eustress)'와 부정적인 '디스트레스(distress)'로 나뉜다. 적당한 유스트레스는 내 능력으 계발하고 업무를 수행하는 긍정적 동력이 될 수 있으나, 디스트레스는 업무 효율을 떨어뜨리고 나를 지치게 만든다. 다른 업체와의 긍정적 경쟁은 발전 원동력이 될 수 있으나, 상사나 동료의 비난과 지적은 디스트레스로 작용한다. 즉 유스트레스는 적절하게 받아들이고, 디스트레스는 줄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스트레스의 원인에 대해 감정을 입히지 말라. 

업무에 시달리며 스트레스를 받다 보면 아무 일 안 하고 푹 쉬고 싶지만, 할 일이 없어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프로젝트를 수행하느라 고생하지만, 프로젝트를 할당받지 못해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상사의 지적이 스트레스지만, 주변으로부터 진심 어린 조언을 받지 못한 채 업무를 수행하는 것 역시 스트레스다. 업무와 인간관계에 감정적인 겉옷을 입혀 더 무섭고 무거워지도록 만들지 말아야 한다. 

 

셋째, 스트레스에 견디는 능력을 키워라.

스트레스를 안 받는 방법은 스트레스를 제거하거나 견디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직장생활에서 나를 힘들게 하는 상사나 동료, 업무 등의 스트레스 원인이 당장 없어지면 좋겠지만 이는 불가능하다. 그렇게 때문에 이러한 스트레스를 견디는 능력을 스스로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 원인에 집중할수록 스트레스는 더 커지기 때문에, 내 일상과 해야 할 일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 즉 취미활동이나 좋아하는 일에 관심사를 돌리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상황이 되기를 기다려라.

우리의 문제는 어느 순간 갑자기 해결되기도 또는 악화되기도 한다. 그러나 내가 이 문제를 해결하고 통제할 수 있는 능력과 위치가 되는지는 또 다른 문제다. 직장에 막 입사한 신입사원이 회사의 운명을 결정하기는 어렵다. 시간이 흐르고 경험치가 높을수록 직장 내 갈등 및 업무상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확률도 높다. 즉 직장에서의 직급에 따라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다르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다섯째, 생각이 많은 사람이 아닌 생각이 깊은 사람이 되는 것이 좋다. 

생각이 많은 사람은 졀정을 내리지 못하고 생각만 하지만, 생각이 깊은 사람은 문제해결을 위한 결정을 내린다. 생각만 하다 보면 머릿속 불안감으로 스트레스만 높아지게 된다. 

 

 

 

반응형

댓글